건강의학상식

🔬 혁신적인 암 치료제 BBO-10203, 어떻게 탄생했나?

프로톤씨의 지구건강 탐험기 2025. 7. 8. 19:50

 

미국 로렌스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LNL), 브릿지바이오 온콜로지(BridgeBio Oncology Therapeutics, BBOT), 프레더릭 국립암연구소(FNLCR)의 협력으로 개발된 BBO-10203는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약입니다. 이 약물은 암세포 성장의 주요 경로인 RAS-PI3Kα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차단하면서도, 고혈당 같은 부작용 없이 종양을 억제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 기존 치료제의 한계와 BBO-10203의 차별성

암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관여하는 RASPI3Kα는 오래전부터 주요 타깃이었지만, 두 단백질 사이의 결합을 깨뜨리는 것은 "약물 불가능 지대(undruggable)"로 여겨졌습니다.

기존의 PI3Kα 억제제들은 혈당을 높여 고혈당(Hyperglycemia) 부작용을 일으켜 치료 지속이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BBO-10203는 정확히 종양만을 타격하면서도 혈당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희귀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 AI와 슈퍼컴퓨터가 만든 신약 설계의 기적

이 놀라운 신약은 DOE(미 에너지부)의 고성능 슈퍼컴퓨터와 **AI 기반 신약설계 플랫폼(LCADD)**를 통해 설계되었습니다.
*LCADD (Livermore Computer-Aided Drug Design)*는 머신러닝,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합한 플랫폼으로, 가상의 분자 수백만 개를 시뮬레이션한 뒤 가장 가능성 높은 후보만 실험실로 보냅니다.

덕분에 기존 수년이 걸리던 신약 설계 과정이 6년 만에 임상 단계 진입까지 도달했으며, 이는 업계 기준으로는 매우 빠른 속도입니다.


Scientists have unveiled a precision drug that blocks a key cancer pathway without common side effects, opening the door to a new class of treatments. Early results show promising tumor control and synergy with standard therapies. Credit: Stock

🧪 약물 작용 메커니즘: “접착제에서 절단기로”

초기에는 **RAS-PI3Kα 결합을 붙잡는 ‘분자 접착제’**를 이용해 구조를 정밀 분석했습니다. 이후 이 분자를 역이용해 결합을 방해하는 ‘브레이커(breaker)’ 분자로 전환했고, 이 전략이 BBO-10203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 작용 대상: HER2 과발현, KRAS 및 PIK3CA 변이 암
🔹 작용 방식: 암세포 내 신호 전달을 차단해 성장 멈춤
🔹 사용 방식: 단독 치료제 또는 항암제 병용 투여로 시너지 효과 기대


🚀 임상시험 진입: 치료 가능한 암의 지평을 넓히다

BBO-10203는 현재 1상 임상시험(2025년 기준) 중이며, 유방암, 폐암, 대장암 등 RAS 변이 기반 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성과 초기 효과를 평가 중입니다.
이전 치료제는 독성 문제로 장기간 투여가 어려웠지만, BBO-10203는 고혈당 없이 장기 투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구조생물학 + AI + 슈퍼컴퓨팅의 이상적 협업

  • 50개 이상의 단백질-약물 복합체 결정 구조를 분석
  • AI 시뮬레이션으로 수백만 분자 후보 필터링
  • 동물 실험 및 세포 실험을 통해 선별된 고선택성 후보
  • 최적의 약물 동역학 및 체내 안정성 확보

💬 전문가 코멘트

“우리는 암의 고질적인 약물 타깃을 정밀하게 끊어낸 최초의 사례를 만들었다.”
– Dr. Dhirendra Simanshu, FNLCR 수석 과학자

“이것이 바로 미래의 신약개발 방식이다. 빠르고, 정밀하며, 안전하다.”
– Dr. Felice Lightstone, LLNL 그룹 리더


✨ 결론

BBO-10203는 암 정밀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여는 신호탄입니다. AI 기반 분자 설계, 구조생물학의 정밀도, 슈퍼컴퓨팅의 속도가 결합해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넘어섰습니다. 고혈당 같은 부작용 없이 RAS-PI3Kα 경로를 정조준하는 BBO-10203는, 앞으로 다양한 고형암 치료에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습니다.


📚 출처

  • Science지 논문 (2025년 6월 12일자):
    “BBO-10203 inhibits tumor growth without inducing hyperglycemia by blocking RAS-PI3Kα interaction”
  • 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 (LLNL) 공식 발표
  • Frederick National Laboratory for Cancer Research (FNLCR) 보도자료

🔖 해시태그

#신약개발 #AI의료혁신 #암치료제 #BBO10203 #LLNL #PI3K억제제 #RAS단백질 #슈퍼컴퓨터의의학 #고혈당없는치료 #과학기술의미래 #블로그과학해설 #박규환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