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6

🧬 인간 세포 속 네 가닥 ‘4중 나선’ DNA 구조 첫 확인! 암 치료 새 단서 될까?

1953년, 케임브리지의 왓슨과 크릭은 생명체의 설계도인 DNA가 이중 나선(double helix) 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세상에 알렸습니다. 그리고 60년 후, 같은 케임브리지대 과학자들이 또 하나의 역사적 발견을 발표했습니다.연구진은 인간 게놈 안에 네 가닥으로 꼬인 ‘4중 나선(quadruple helix)’ DNA 구조, 즉 G-사중나선(G-quadruplex) 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이 구조는 DNA의 4가지 염기 중 구아닌(G)이 많이 모인 부분에서 형성되며, 특히 암세포처럼 빠르게 분열하는 세포에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10년 연구 끝에 살아있는 인간 세포에서 첫 증명이번 연구는 이론과 컴퓨터 모델링, 실험실 내 합성 실험을 거쳐 마침내 살아있..

건강의학상식 2025.07.06

☕ 카페인, 단순한 각성제 넘어 기억력까지 강화한다!

커피, 차, 에너지 음료 등으로 하루를 시작하거나 잠을 쫓는 데 도움을 주는 카페인. 그런데 이 카페인이 기억력 강화에도 효과적이라는 놀라운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Johns Hopkins University) 심리·뇌과학과 마이클 야사(Michael Yassa) 교수 연구팀은 카페인이 장기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입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는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에 발표되었습니다.🔎 카페인이 기억력을 어떻게 강화할까?연구팀은 평소 카페인을 거의 섭취하지 않는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이중맹검시험을 진행했습니다. 참가자들은 다양한 이미지들을 학습한 뒤 5분 후, 위약(placebo) 또는 200mg 카페인 알약..

건강의학상식 2025.07.06

🧠 “놀라운 결과”: 파킨슨 유발 효소 차단으로 손상된 뇌세포 되살리다

스탠포드 의과대학이 주도한 획기적 연구에서, 파킨슨병과 관련된 특정 유전 돌연변이로 과활성화된 단일 효소(LRRK2)를 억제하면 초기 뇌세포 손상을 되돌릴 수 있음이 확인됐습니다. 단 3개월간 효소 억제제를 투여하자, 죽어가던 뇌세포들이 다시 건강한 세포처럼 소통하고 보호 신호를 주고받는 모습을 보였으며, 작은 세포 “안테나(섬모)”까지 재생되었습니다.이번 연구는 파킨슨병의 진행을 단순히 늦추는 것이 아니라, 일부 증상을 되돌리는 치료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파킨슨병과 LRRK2 효소의 역할전체 파킨슨병 환자의 약 25%는 유전적 돌연변이가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LRRK2(Leucine-Rich Repeat Kinase 2) 유전자의 변이는 효소 활성을 비정상적으로 높여..

건강의학상식 2025.07.06

🌟 차세대 비타민 D3 나노에멀전, 자폐 증상 핵심 개선에 효과적

최신 연구에 따르면, **특수 제작된 비타민 D3 나노에멀전(nanoemulsion)**을 섭취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들에게서 핵심 자폐 증상이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존 비타민 D3 보충제는 효과가 일관되지 않았지만, 나노에멀전은 체내 흡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여 실제 행동 발달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왜 비타민 D3가 중요한가?자폐 아동들은 일반적으로 비타민 D3 결핍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결핍은 언어 발달 지연, 적응 행동 저하, 소근육 운동 발달 문제 등과 연관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하지만 지금까지 진행된 기존 비타민 D3 보충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 실질적인 임상 적용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연구 방법과 디자인이번 연구는 3세에서 6..

건강의학상식 2025.07.06

🧠 새로운 연구: IQ가 높은 사람이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이유

영국 바스대학교 경영대학(University of Bath’s School of Management) 연구팀이 발표한 최신 연구에 따르면, IQ(지능지수)가 높은 사람일수록 미래 사건의 확률을 더 정확하고 현실적으로 예측하여 더 나은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는 《성격 및 사회심리학 저널(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게재되었습니다.📊 IQ와 예측 능력의 관계연구진은 영국 전역의 50세 이상을 대표하는 표본인 영국 노화종단연구(ELSA, English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 참가자들에게 본인이 특정 연령까지 생존할 확률을 추정하도록 한 뒤, 영국 통계청(ONS)의 공식 생..

일반상식 2025.07.06

🌟 두 번 터진 별의 죽음! 사상 첫 ‘더블 디토네이션’ 초신성 시각 증거 포착

천문학자들이 사상 최초로 별이 두 번 폭발하는 놀라운 우주 현상, 즉 ‘더블 디토네이션(double detonation)’의 흔적을 시각적으로 포착했습니다. 이번 관측은 우리 우주의 팽창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는 Ia형 초신성의 작동 원리에 대한 수십 년 된 미스터리를 풀 단서를 제공했습니다.🔭 두 번의 폭발, 우주의 철분을 만든 별연구진은 유럽남방천문대(ESO)의 초대형망원경(VLT)과 MUSE 관측기를 이용해 대마젤란은하(LMC) 내 16만 광년 떨어진 초신성 잔해 SNR 0509-67.5를 자세히 관찰했습니다. 관측 결과, 별이 한 번이 아니라 두 차례 폭발했다는 뚜렷한 화학적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이번 발견으로 천문학계가 그동안 가설로만 예측했던 더블 디토네이션 메커니즘이 실제 자연에서 일어난다는..